♨️

P2: Temperature mobile

Arduino part

TMP36 Sensor Connection

HC06 Connection (Bluetooth)

Arduino Code

#include <SoftwareSerial.h>
SoftwareSerial hc06(2,3); // hc06이라는 블루투스 장치를 2번,3번하고 연결한다는 뜻

byte receivedData;
int s = A0; //A0 아날로그 시그널 받기

void setup() {
  Serial.begin(9600); // 얘는 아두이노꺼
  hc06.begin(9600);   // 얘는 블루투스꺼
}

void loop() {          
  if(hc06.available()){
    receivedData = hc06.read();   // 블투에서 받아와서 저장
    
    if(receivedData == 48) {  // 어플에서 '0'이라는 ASCI 코드 보내줄꺼임 ("0" = 48)
      while(true){
        float T = ((analogRead(s)*5.0/1024)-0.5)/0.01;  // 온도센서 전압값을 온도로 바꿔주는 식
        String tem = (String)T +'/';                    // 한줄로 된 String 배열을 '/' 로 나눠 표시해준다 -> 나중에 저거보고 분리해서 어플에 띄움
        Serial.print(tem);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/ 아두이노에서도 한 번 보자
        hc06.print(tem);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/ 블투가 그 값들을 어플로 보냄
        delay(50);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/ 속도 조절
      }
    }
  }
  delay(1);
}

Android Studio part

acticity_main.xml
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LinearLayout xmlns:android="http://schemas.android.com/apk/res/android"
    xmlns:app="http://schemas.android.com/apk/res-auto"
    xmlns:tools="http://schemas.android.com/tools"
    android:layout_width="match_parent"
    android:layout_height="match_parent"
    android:orientation="horizontal"
    tools:context=".MainActivity">

<LinearLayout
    android:layout_width="300dp"
    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
    android:layout_gravity="center_horizontal">

    <TextView
        android:layout_width="wrap_content"
        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
        android:layout_marginTop="20dp"
        android:layout_marginRight="10dp"
        android:layout_marginLeft="77dp"

        android:text="현재온도 : "
        android:textSize="30dp"
        />
    <TextView
        android:id="@+id/text"
        android:layout_width="wrap_content"
        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
        android:layout_marginTop="20dp"

        android:text="00.00"
        android:textSize="30dp"
        />

</LinearLayout>
<!--    온도 뒤에 ℃ 붙일때 안움직이게 하려고 따로 빼서 만들었음-->
    <TextView
        android:layout_width="wrap_content"
        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
        android:layout_marginTop="20dp"
        android:layout_marginRight="50dp"

        android:text= "℃"
        android:textSize="30dp"
        ></TextView>

</LinearLayout>

MainActivity.java

package com.example.temperaturesensor;

import androidx.appcompat.app.AppCompatActivity;

import android.bluetooth.BluetoothAdapter;
import android.bluetooth.BluetoothDevice;
import android.bluetooth.BluetoothSocket;
import android.os.Bundle;
import android.os.Handler;
import android.os.SystemClock;
import android.util.Log;
import android.widget.TextView;
import android.widget.Toast;
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;
import java.io.OutputStream;
import java.util.UUID;

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{

    // mUUID 라는 개념 = 뭐랑 뭐랑 연결할 것인가?
    // 여기서는 블루투스랑 핸드폰이랑 연결 그 포멧이 밑에 있는 초록색
    // 다른거랑 연결하고 싶으면 다른 주소 적으면 됨
    static final UUID mUUID = UUID.fromString("00001101-0000-1000-8000-00805F9B34FB");

    // 내 mac 주소 미리 지정해놓기
    // 예전에 블투투스 스캐너에서 보면 나옴
  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arduinoMacAddress = "98:D3:32:70:A9:94";


    // 액티비티랑 연결하려고!
    private TextView text;

    // Thread 할 때는 키고 끄는 boolean 필요하다!
    private boolean isRunning = false;

    // 처음에 보내는거 비어있게
    private BluetoothSocket btSocket = null;

    // 나중에 받아오는 정보들 처리할 변수들
    private float c;
    private String temperature;
    private String[] array;


    @Override
    protected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 // 어플이 처음 켜지면 작동할 사항들
        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        setContentView(R.layout.activity_main);

        // 액티비티랑 이어주고
        text = findViewById(R.id.text);


        // 블루우스 연결파트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        // 모든 소켓통신 4가지 단계
        // 1. 어댑터 만들기
        BluetoothAdapter btAdapter = BluetoothAdapter.getDefaultAdapter();

        // 블루투스랑 내 mac 주소랑 이어주고 print
        BluetoothDevice hc06 = btAdapter.getRemoteDevice(arduinoMacAddress);

        // 2. 블루투스 소켓 만들기!
        //    소켓 개념 - 가상의 터널을 뚫어주는 거 - 여기로 정보가 왔다갔다가함
        int counter = 0; // 나중에 3번까지는 시도하게 하려고!
        do { // do while과 while 차이 - do while은 최소 한번은 실행함!
            try { // try-catch는 그냥 예의상 있다고 생각하자
                // Bluetooth socket 만들기 - 여기 중요!
                btSocket = hc06.createRfcommSocketToServiceRecord(mUUID); // 블투-핸본 통신이고
                btSocket.connect(); // 그걸 이어준다
            } catch (IOException e) {
                e.printStackTrace();
            }
            counter++; // 카운터 올려주면 몇 번 시도 했는지 셀 수 있겠지
        } while (!btSocket.isConnected() && counter < 3); // 3번까지 시도하게
        Toast.makeText(getApplicationContext(),  "Bluetooth Connected",   Toast.LENGTH_SHORT).show(); // 블투 연결되면 토스트 메세지로 알려주기!

        // Tread 파트 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        // 개념 : 아예 새로운 작업공간 만들어서 거기서 작업 - 중요!
        // while루프 main에서 돌려버리면 이거때문에 앱 다운됨 -> 새로운 작업공간 만들어서 따로 작동하게!
        isRunning = true; // false 였던거를 앱 실행할 동안은 true 로 바꿈 - 나중에 나갈때 다시 false로 만들꺼

        DataProcessing(); // Thread 함수를 저 이름으로 밑에서 만듬 - 그거 실행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    }


    // Thread 함수 새로 만들어서 오래 걸리는 작업을 다른 공간에서 할 수 있게 만든다!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    private Thread thread; // 우선 선언해주고
    private void DataProcessing() { // 그냥 임의의 이름을 정해 놓은거
        if (thread != null) { // 그냥 예의상 넣어준 파트 같음
            thread.interrupt();
        }
        // 개념: 1. 블투 연결해서 정보를 String 형태로 길게 가져오는 파트: thread 해서 할꺼
        //       2. 그 파트를 가공해서 setText 해주는 파트 :Runnable이라는 곳에서 할꺼 (더 밑에 따로 있음)

        // 1번 부분
        thread = new Thread(new Runnable() { // thread 라는 새로운 Thread 만들었고 Runnable()이라는 함수 쓸꺼라는 표현
            @Override
            public void run() { // 걍 실행
                while (isRunning) { //is Running이 ture이면 계속 밑에 내용 반복한다는 뜻

                    // 3. 블루투스 Input Output 정보 교환!
                    // 블투로 정보 쏘는거 - outputStream
                    // 불투에서 정보 받는 거 - inputStream

                    // 여기가 직접적으로 블투로 정보 쏘는 부분!
                    try {
                        String send = "0"; // 0 이라는 걸 send에 sting 형태로 담아서
                        OutputStream outputStream = btSocket.getOutputStream(); // OutputStream 여기 class 이용해서 아두이노로 쏘는 거임
                        outputStream.write(send.getBytes()); // 시스템에서 확인
                    } catch (IOException e) {
                        e.printStackTrace();
                    }


                    // 여기에서 이제 받음 (아두이노에서 "0" 받으면 정보를 String 형태로 쏴주게 코딩해놓음)
                    InputStream inputStream = null; // 처음에 혹시 모르니까 깨끗하게 비워주고
                    try {
                        inputStream = btSocket.getInputStream(); // inputStream 받아!
                        inputStream.skip(inputStream.available()); // 연결되기 전에 있던 정보는 skip 한다는 뜻


                        if (inputStream != null) { // 이 표현 써서 원래 있던 문제 해결함 - 중요한 표현!
                            int bytes;
                            byte[] buffer = new byte[1024]; // array 만들어서 그 안에 저장할꺼임 - 저장공간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bytes = inputStream.read(buffer, 0, 1024); // buffer라는 공간에 inputStream 넣고 그걸 bytes라는 곳에 저장
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erature = new String(buffer, 0, bytes);  // 그거 저장한 String 값들을 temperature라는 변수에 넣어줌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runOnUiThread(runnable); // 여기 중요! - thread 부분에서 블투정보 받아오는 거 다했고(1번) 이제 Data처리를 runnable에서 할꺼다(2번) - runnable은 밑에 따로 함수로 해놨음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                            Thread.sleep(10); // 속도조절 부분

    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    } catch (IOException | InterruptedException e) { //이런 것들은 그냥 빨간줄 쳤을때 alt + enter 하면 알아서 만들어줌 - 그냥 에러났을때 표시해주겠다는 내용이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e.printStackTrace();
                        }

                }// while 루프꺼
            } // run()한거
        }
        ); // thread꺼

        thread.start(); // thread 만들었으면 꼭 실행시켜줘야함!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
    } // DataProcessing꺼


    // 2번 블투 받은거 가공해서 setText 해주는 부분!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    final Runnable runnable = new Runnable() { // runnable이라는 이름의 Runnable 함수 만들어준다 - 그냥 바로 실행한다는 함수인데 thread 이랑 짝꿍으로 많이 쓴다
        @Override
        public void run() {
            array = temperature.split("/"); // 아두이노에서 String 형태로 보내주는데 구분해줄라고 "/" 붙여서 보냈었음 - .split 이라는 좋은 고마운 함수를 이용해서 저거 보일때마다 짤라서 array에 넣어줌! (맨 위에서 선언했었음)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            for(int i=0; i<array.length; i++){ // 이제 차례대로 보여주기만 하면 됨
                if(array[i].length()>2) { // 두자리수 이상일때만 출력 - 노이즈 잡는거 (실내온도일경우 1자리 없으니까. 때에 따라 조절 가능!)
                    c = Float.valueOf(array[i]); // array 들어온거를 float로 바꿔줌! - 이 형식도 많이 쓸듯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
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c); // 시스템에서 한번 확인 (필터링 안된 값들도 볼 수 있음,,)
                    if( c>20 ) { // 실내온도 대충 20도 이상이니까 (사실 온도계가 계속 왔다리 갔다리해서 이상한 값 보여줄때도 있었는데 그래서 제대로 된 값만 계속 필터링해준거
                        text.setText(""+ c);  // 그거를 액티비티에 setText 해준다! - 끝!
                    }
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;


    @Override
    protected void onDestroy() { // 어플 끌때 취해줄 행동들
        super.onDestroy();

        // Thread 종료를 위해 false 값을 넣어준다 - 이거 안하면 어플 꺼도 계속 돌아감 - 메모리 낭비
        isRunning = false;

        // 4. 블투소켓 닫기 - 어플 끌때 소켓 안닫으면 메모리 차지하니까!
        try {
            btSocket.close(); // 닫아주기
        }
        catch (IOException e) {
            e.printStackTrace();
        }
    }
}

AndroidManifest.xml
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manifest xmlns:android="http://schemas.android.com/apk/res/android"
    package="com.example.temperaturesensor">

    <uses-permission android:name="android.permission.BLUETOOTH" />
    <uses-permission android:name="android.permission.BLUETOOTH_ADMIN"/>

    <application
        android:allowBackup="true"
        android:icon="@mipmap/ic_launcher"
        android:label="온도계"
        android:roundIcon="@mipmap/ic_launcher_round"
        android:supportsRtl="true"
        android:theme="@style/AppTheme">
        <activity android:name=".MainActivity">
            <intent-filter>
                <action android:name="android.intent.action.MAIN" />

                <category android:name="android.intent.category.LAUNCHER" />
            </intent-filter>
        </activity>
    </application>

</manifest>

Demonstration